우리몸의 건강와 다양한 정보51 나의 가족을 살릴 수 있는심폐소생술을 쉽게 알아보자 1. 심폐소생술(CPR) 시작 전에 확인할 사항심폐소생술(CPR)을 시행하기 전에 가장 중요한 것은 환자의 상태를 정확히 확인하는 것입니다. 만약 누군가가 감전이나 심정지로 의식을 잃었고, 호흡이 없는 상태라면, 즉시 CPR을 시작해야 합니다. CPR을 시작하기 전에 다음 사항을 확인해야 합니다:환자가 의식이 있는지 없는지 확인해보세요. 이름을 불러보거나 어깨를 가볍게 흔들어보면 됩니다.환자가 호흡을 하고 있는지 확인합니다. 가슴이 오르내리는지 확인하거나, 얼굴에 손을 대어 숨을 쉬는지 알아봅니다.환자가 의식이 없고 호흡을 하지 않으면, 즉시 CPR을 시작합니다. 2. CPR 시작 전 준비하기CPR을 시작하기 전에 환자를 평평하고 단단한 바닥에 눕히는 것이 중요합니다. 침대나 부드러운 .. 2025. 4. 19. 부산 감전 사고, 남 일이 아닙니다(이렇게 대처하고 치료하세요) 감전 사고, 남 일이 아닙니다 – 부산 수영장 사고를 계기로 꼭 알아야 할 감전 대처법최근 부산 중구의 한 수영장에서 안타까운 사고가 발생했습니다. 70대 남성이 감전으로 추정되는 사고로 쓰러졌고, 병원으로 옮겨졌지만 결국 숨졌습니다. 사고 당시 또 다른 50대 남성도 감전돼 다쳤으며, 경찰은 누전 차단기 작동 여부와 전기 시설 문제 등을 조사 중이라고 밝혔습니다.사고가 발생한 수영장은 2023년 정기 안전검사에서 ‘합격’ 판정을 받았지만, 건물은 1991년에 지어진 노후 시설이었고, 현장 주변에서는 끊어진 전선도 발견됐다고 합니다. 현재 해당 수영장은 운영이 중단된 상태입니다. 이처럼 감전 사고는 우리가 예상하지 못한 순간, 평소 아무렇지 않게 다니던 장소에서도 일어날 수 있습니다. 전기는 생활에 꼭 .. 2025. 4. 19. 근골격계 신장 기술 설명과 방법 근골격계 신장 기술 설명과 방법 근골격계 허리뼈 도수 견인 도수 견인은 목뼈와 같이 허리뼈에 적용하는 것은 쉽지 않다. 적어도 환자의 체중 1/2은 움직여야 하고 허리뼈의 마찰력 개수는 척추 신년 및 신장의 원인을 극복해야 한다. 환자는 척추를 쉽게 움직이고 신장하기 위해 스플릿 견인 테이블에 돕는 것이 도움이 된다. 환자 자세는 바로 누운 자세 또는 엎드린 자세. 테이블 끝에 안전한 멜빵으로 등뼈를 고정하거나 테이블 머리 쪽에서 서서 환자의 팔을 고정하고 환지를 고정한다. 저 가동조직을 최대로 신장시킨다. 신전 자세를 신장하기 위해 엉덩관절을 편다. 굽힘을 신장하기 위해 엉덩관절을 굽힌다. 옆 굽힘을 신장하기 위해 한쪽 다리를 움직인다. 치료사는 효과적인 신체역학 및 체중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2025. 4. 19. 척추 운동과 자세 조절에 관해 고유성 감각을 인식하는 운동 척추 운동과 자세 조절에 관해 고유성 감각을 인식시키고 운동하는 지침 증상이완 자세 환자는 척추를 어떻게 움직이는지 학습해야 하고 증상을 최소화할 때 최소화하는 범위 또는 자세를 찾아야 한다. 증상이완 자세는 펀한 자세 또는 휴식 자세이다. 척추 중립 자세는 중간범위를 말하며 운동을 시작하는 자세로 환자에게 가장 편안한 자세일 수도 불편할 수도 있는 자세이다. 목뼈를 위한 운동 지침 바로 누운 자세에서 시작. 지구력이 생기면 앉은자세와 기타 기능적 자세로 진행한다. 머리를 부드럽게 끄덕여서 수동적으로 머리와 목을 움직여서 굽힘과 파마, 옆 굽힘, 그리고 돌림에서 환자가 가장 편한 자세를 찾는다. 필요하면 머리와 목에 베개를 둔다. 환자가 수행하는 운동의 효과와 감각에 관해 설명한다. 환자는 움직임이 자.. 2025. 4. 18. 척추통증에 대한 도수교정과 운동 척추에 대한 도수교정과 운동 척추 관리 운동환자가 물리치료사의 치료를 요구할 때, 각 환자는 다른 진단, 손상, 그리고 기능 제한을 갖고 있고, 조직치유 단계도 다를 것이다. 각 환자를 위한 치료계획은 효과적인 치료 운동프로그램을 계획하는데 기반을 두기 위하여 반드시 기본 중재로 시작해야 한다. 기본 중재는 모든 척추손상 환자가 검사 시기와 초기 치료에서 그들의 기능 수준과 상관없이 배워야 하는 운동 또는 기술을 말한다. 기본 중재는 기본 근 운동감각 훈련, 기본 척추 안정화 훈련과 기본 신체 역학에 관한 기능 훈련을 포함한다. 기본 기술을 학습한 후, 환자의 능력 및 학습 의욕 수준에 따라 운동 중재를 진행한다. 예를 들어, 몇 개월 전 증상발병으로 만성 증상의 치료를 시작한 환자는 먼저 증상을 증가.. 2025. 4. 17. 입을 벌릴때나 씹을때 나타나는 턱관절 기능부전 턱관절 기능부전 턱관절의 기능은 위 목뼈의 기능 그리고 자세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환자의 70%에서 목 통증과 턱관절 장애와 관련이 있다는 보고가 있다. 목 통증과 턱관절 장애가 같이 발생하고 밀접한 관련이 있다. 구조와 기능 턱관절은 관자뼈의 턱관절오목과 아래턱뼈의 관절돌기가 만나 이루는 관절로, 평면과 경첩관절에 속하며, 관절공간은 관절원반에 의해 둘로 나뉘며 운동범위는 크다. 양쪽 턱관절에 의해 씹기, 말하기, 하품하기로 한다. 턱관절의 움직임 턱관절 움직임은 아래턱 내림, 그리고 내밂이 있다. 아래턱 내림 동안, 아래턱 관절돌기는 턱관절 관절원반에 대해 앞쪽으로 구르고 미끄러짐이 함께 일어나고 반면에 관절원반은 관절오목과의 관절면을 유지하기 위해 앞쪽으로 미끄러짐이 일어난다. 입 벌림.. 2025. 4. 16. 이전 1 2 3 4 5 ··· 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