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29 신경 기능 손상을 포함한 근골격 검사와 진단. 하지 신경 검사와 가동 술 궁둥신경 검사 SLR TEST (발목 발등굽힘과 함께하는 하지 직 거상 SLR) 환자는 바로 눕는다. 다리를 완전히 편 상태에서 들어 올리며 발목을 발등굽힘 시킨다. 다양한 방법을 적용할 수 있는데 발목 발등굽힘, 발목 안쪽 번짐 상태에서 발바닥굽힘, 엉덩관절 모음, 엉덩관절 안쪽돌림, 그리고 수동으로 목 굽힘 등을 같이 한다. 이 검사방법은 다리를 뻗고 앉거나 (slump sitting position) 옆으로 누워서 시행할 수 있다. 이렇게 다양한 검사 자세는 다리와 목의 서로 다른 타이트함을 제공하거나 뒤 넘 다리 근의 타이트함을 유발한다. 또한 궁둥신경과 허리엉치신경얼기에서 신경 가동성과 제한받는 위치를 알 수 있다. 발목 자세의 변화는 엉덩관절과 무릎관절의 다양함과.. 2025. 4. 1. 신경가동성 손상의 증상과 관리 상지신경 치료방법 (1) 신경 가동성 손상의 증상과 발현 혈관과 역학적 요소가 신경병리를 초래할 수 있다. 통증은 대부분 흔한 증상이고, 신장 통증 또는 마비로 나타나는 감각 반응은 조직이 신경신장 자세를 취할 때 나타난다. 14 임상 추론은 손상 기전을 이해할 때 적용할 수 있는 예로 신경조직과 주변 조직의 병리학적 외상 형태로 발생하는 증상들, 증상이 다시 나타나거나 신경조직의 긴장 상태 등이 있다. 신경 가동성이 양호한지 유발하는 검사가 있다. 신경 가동 검사방법은 신경조직의 긴장 징후를 알기 위해 시용한다. 팔 긴장 검사(ULTT) 팔 신경 가동검사(ULNT), 하지 직 거상(SLR) 그리고 허리 골반신경 자극검사 등이 있다. 검사의 중요 점은 검사 자세를 다관절에 적용하기 위해, 모든 관련된 관절을 반드시 분절로 나.. 2025. 4. 1. 신경 손상과 회복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하자 신경 손상과 회복에 대하여 신경 손상의 기전 신경은 가동성이 있고, 배열 안에서는 늘어나거나 비틀릴 수 있다. 그러나 신경들은 다양한 유형의 손상이 되기 쉬운 구조로 되어있어 빈번하게 일상생활이 나타나게 된다. 지혈용 압박대 같은 것으로 외부에서 압박받거나,뼈나 종양 또는 연부조직으로 인해 내부 압박으로 기계적손상 및 허혈성 손상과 외상과 같은 칼, 총상,수술적 합병증,주사 치료 시 손상과 출산이나 일상생활이 자세나 환경 때문에 당겨지는 힘 긴장으로 생길 수 있다. 손상은 완전 손상과 부분 손상이 있고,증상 또한 손상된 부위에 따라 달라진다. 말초신경의 생체 역학적 손상은 대부분 마찰,압박, 과도한 신장에 의한 손상이 대부분이다. 이차적 손상은 출혈이나 부족에 의해 발생한다. 압박의 힘은 신경의 .. 2025. 3. 31. 신경손상 허리와 하지 통증, 저림의 원인과 분류와 관리 허리다리 신경성 통증의 원인과 신경구조 허리엉치신경얼기 (Lumbosacral Plexus) 허리신경 얼기는 L1, L2, L3와 일부분 L4 신경뿌리의 앞 가지들로 구성되어 있다. 엉치신경얼기는 L4, L5, S1과 일부분의 S2S3으로 구성되어 있다. 위 팔신경얼기와같이 허리엉치신경얼기의 가지들은 다리에 각각의 말초신경들을 담고 있다. 또한 신경얼기의 앞까지에는 다리의 혈관과 땀샘 털세움근(입모근)을 담당하는 자율신경계로부터 나오는 뒤 신경절 교감 신경섬유가 있다. 허리신경얼기 또는 영치 신경얼기의 단독 손상은 흔하지 않다. 특정한 말초신경의 압박이나 긴장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신경뿌리에 영향으로 인해 증상들은 추간판탈출증이나 척추성 질환으로 인해 발생한다. 허리 엉치 신경얼기는 3가지 말.. 2025. 3. 31. 신경손상 상지 통증과 저림의 원인과 분류와 관리 상완 신경 총의 분류와 관리위 팔신경얼기 손상(C5,C6) 가장 흔하게 발생하는 손상은 위신경얼기의 손상 및 압박이다. 압박과 손상은 어깨가 아래쪽으로 처지거나 목이 반대 방향으로 옆 굽힘 될 경우에 발생한다. 어깨의 벌림과 가쪽 돌림의 소실과 팔꿈치 굽힘과 아래팔의 뒤침 약화가 나타나 감각신경과 운동신경의 마비가 될 수 있다. 중간 팔신경얼기 손상(C7)임상에서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아래 팔신경얼기 손상(C8, T1) 임상에서 위팔 신경 손상과 자주 나타나는 손상 중 하나이다. 종종 위쪽 갈비뼈가 압박되거나 팔이 머리 위로 늘려졌을 때 발생한다. Klumpke 마비라 불리기도 한다. 출산 시 태아의 팔이 머리 위로 올라가 신경이 늘어나거나 비틀린 외압이 나타나 손상될 경우에 발생한다. 신경얼기.. 2025. 3. 30. 수술후 통증 관리와 단계별 관리방법. 수술 후 최대 보호 단계 이것은 조직 염증과 통증의 존재에서 수술한 조직의 보호가 가장 우선하는 수술 후 이른 시기이다. 일부 수술 후, 수술한 부위의 고정이 이 시기에 필요하다. 기타 수술들 이후에, 수술 직후 수술한 조직에 아주 낮은 수준의 스트레스를 주는 것이 권장되며, 보호된 범위 또는 허용할 수 있는 그 환자의 인내도 한계 안에서 이른 수동적인 또는 보조된 ROM만 시행한다. 두 상태 모두에서, 근육 위축을 막기 위한 근 고정 운동도 적합할 것이다. 최대의 보호 단계에 대한 시간상의 틀은 수술의 유형과 이환된 조직의 유형에 따라서 며칠 또는 일주일로부터 1개월 또는 6주 정도 이어진다. 1. 자가 관리를 위한 초기 환자의 교육을 해준다안전한 자세 취하기와 팔다리 움직이기 그리고 특정한 보호적 예.. 2025. 3. 30. 이전 1 2 3 4 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