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우리몸의 치료와 균형

뼈관절염 통증과 관리방법 특징을 알아보자

by powerin0815 2025. 3. 26.

뼈 관절염( 퇴행성 관절염 )

 

뼈 관절염(OA)은 주로 윤활관절의 관절연골을 침해하는 만성 퇴행성 질환이며, 결과적인 뼈 재형성과 관절 가장자리의 과성장(뼈 돌기와 뼈과성장)을 동반한다. 그리고 윤활막과 관절주머니의 비 후와 관절 삼출이 진행된다. 외과적 그리고 의료적 중재의 결과로 사회적, 경제적 타격을 받은 상당한 수의 사람들에게서 관절염으로 인한 손상은 활동 제한과 참여 제한을 초래한다.

 

 

뼈 관절염 특징.


퇴행과 함께 뼈 재형성, 관절주머니 팽창의 결과로 관절 주머니가 느슨해질 수 있으며, 일부 관절 가동 범위에서 과가 동성 또는 불안정을 초래한다. 통증과 움직이려는 의지 감소로 결국 관절을 지나는 근육과 관절주머니 부위에서 구축이 발생할 수 있으며, 질병이 진행되면서 움직임은 더욱 제한된다. OA의 병인이 알려지지 않았을지라도, 주된 스트레스 또는 반복적인 작은 스트레스로 인한 관절의 기계적인 손상과 관절이 고정될 때 윤활액의 움직임 부족은 가능한 원인이다. 관절연골의 빠른 파괴는 고정으로 인해 일어나는데, 이때 연골이 움직이는 윤활액에 의해 휩싸여 있지 않고 영양 공급이 부족해지기 때문이다. 

또한 OA는 특히 손과 엉덩관절 그리고 무릎관절에서 어느 정도 유전적 관련성이 있다. OA와 직접적으로 관련이 있는 다른 위험 요인은 비만, 넙다리네갈래근 약화, 관절 충격, 반복적인 충격과 비틀림의 스포츠활동 무게를 들어 올리면서 쭈그린 자세와 무릎 꿇은 자세를 취하는 직업 활동이다. 연골은 균열이 생기고 앓아져서 스트레스에 견디는 능력이 
소실된다. 결과적으로 비빔 소리나 유리체가 관절 내에 생길 수도 있다. 결국 연골 밑 뼈가 노출된다. 인접 뼈몸통에서 양성 뼈 소실과 뼈엉성증과 함께 관절성을 따라 뼈의 밀도가 증가한다. 연골에는 혈관과 신경이 없기 때문에 관절염 초기에는 무증상이지만, 후기 단계에 
통증이 지속된다. 침범된 관절은 비대해질 수도 있다 Heberden 결절(첫 번째 마디)과 Bouchard 결절(두 번째 마디)이 흔하다. 가장 많이 침범되는 관절은 체중부하 관절(엉덩관절과 
무릎관절) 허리뼈, 그리고 지절 관절과 엄지의 손목 중수 관절이다.

 


뼈 관절염의 관리원칙

환자 교육 교육은 환자에게 OA 질환, 활동을 유지하는 동안 관절을 보호하는 방법, 증상을 관리하는 방법에 대해 가르치는 것을 포함한다. 환자는 관절 수행력, ROM, 지구력을 개선하기 위해 안전한 운동으로 구성된 가정프로그램을 배운다.

통증 관리-초기 단계 통증과 “뻣뻣 함” 느낌은 초기 동안 흔한 증상이다. 통증은 대개 침범된 관절에 대한 스트레스와 과도한 활동으로 일어나고 휴식과 함께 완화된다. 강한 뻣뻣한 느낌과 증상은 아침 또는 휴식 활동이 후에 일어난다. 이것은 무활동이 후에 침범된 관절의 겔화로 안 한다. 운동은 정체와 뻣뻣함은 느낌을 완화한다. 환자가 기계적 제한을 예방, 지연 또는 교정하기 위해 생체학적 스트레스를 바로잡고 활동과 휴식 사이의 균형을 찾도록 돕는다. 

관리-후기 단계에서는 질병의 후기 단계 동안 통증은 종종 쉴 때도 나타난다. 통증은 연골 밑 뼈, 윤활막, 관절주머니의 이차적인 침범으로 발생한다. 척추에서 뼈 성장으로 신경뿌리가 침해된다면 신경뿌리통증이 생길 수 있다. 관절 스트레스를 최소화하기 위해 보조 기구 또는 부목을 사용하고 활동 수정을 강조한다. 활동 수정과 진통제로 관리할 수 없는 통증은 대개 외과적 중재의 적응증이다.

보조기구와 지지기구 및 활동 질병의 진행과 함께 뼈 재형성, 부종, 구축은 관절을 통한 힘의 전달을 바꾸며, 더 나아가 변형력을 영속시키고 관절 변형을 야기한다. 기능적인 활동은 더 어려워진다; 높은 변기 좌석, 지팡이, 보행기와 같은 적응 또는 보조기구가 통증성 스트레스를 줄이고 기능을 유지하기 위해 필요할 수도 있다. 충격 흡수 신발은 무릎 OA의 스트레스를 감소시킬 수 있다. 수중 치료와 물속에서의 그룹 운동은 다리 OA 환자 
의 통증을 감소시키고 신체기능을 향상하는 데 도움이 된다. 

저항운동은 근육의 점진적인 약화는 무활동 또는 신경 세포 풀의 억제로부터 일어난다. 약한 근육은 관절 기능 이상을 가중할 수 있다. 강한 근육은 관절을 보호한다. 관절이 견딜 수 있는 범위 내 저항운동은 환자의 운동프로그램 부분이어야 한다. 관절 통증을 야기하거나 
환자가 조절할 수 없는 무거운 무게와 변형력을 피하도록 한다. 적응은 통증이 없는 범위에서만 저항을 적용하는 다각도 등척성운동의 시행과 체중부하 스트레스를 감소시키고 기능적 수행을 개선하는 풀의 사용을 포함한다.

신장과 관절 가동 기법은 기동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사용한다. 환자에게 자가 신장/유연성 운동과 진행성 제한에 대응하는 운동의 중요성을 가르친다.

균형 활동과 유산소운동. 환자는 심폐기능을 향상하기 위해 계획된 
운동을 배워야 한다. 걷기, 자전거 타기, 수영과 같은 관절에 대한 충격이 가벼운 운동을 선택해야 하고 반복적인 집중 부하를 야기하는 활동은 피해야 한다. 

 


운동시 주의사항


균형 운동과 유산소 운동 시 주의 사항은 지지 근육을 강화할 때 저항운동이나 후에 관저의 통증 증가는 아마 부적절한 과다한 운동범위와 스트레스 가해지거나 너무 무거운 무게가 사용되어 관절 역학과 범위 동안 어떤 지점에서 가장 큰 압력이 발생하는지 분석하고 최대 저항운동은 수행되지 말아야 한다. 한마디로 저강도 고반복 운동을 실시 하는 것이 좋다. 
최근 연구에서는 도수치료에서 시행되는 관절 가동 술이 능동운동보다 더 높은 치료 성공을 나타냈다고 나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