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심폐소생술(CPR) 시작 전에 확인할 사항
심폐소생술(CPR)을 시행하기 전에 가장 중요한 것은 환자의 상태를 정확히 확인하는 것입니다. 만약 누군가가 감전이나 심정지로 의식을 잃었고, 호흡이 없는 상태라면, 즉시 CPR을 시작해야 합니다. CPR을 시작하기 전에 다음 사항을 확인해야 합니다:
- 환자가 의식이 있는지 없는지 확인해보세요. 이름을 불러보거나 어깨를 가볍게 흔들어보면 됩니다.
- 환자가 호흡을 하고 있는지 확인합니다. 가슴이 오르내리는지 확인하거나, 얼굴에 손을 대어 숨을 쉬는지 알아봅니다.
- 환자가 의식이 없고 호흡을 하지 않으면, 즉시 CPR을 시작합니다.
2. CPR 시작 전 준비하기
CPR을 시작하기 전에 환자를 평평하고 단단한 바닥에 눕히는 것이 중요합니다. 침대나 부드러운 소파에서는 CPR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딱딱한 바닥에서 시작해야 합니다. 환자를 편안하게 눕히고, 가슴 부위가 평평하게 놓이도록 하세요.
다음으로, CPR을 할 때 자신의 손을 적절히 위치시킬 준비를 해야 합니다. 환자의 가슴 중앙에 두 손을 위치시키는 것이 중요합니다. 양쪽 젖꼭지의 중간을 기준으로 가슴 중앙에 손을 놓습니다.
3. 가슴 압박 (흉부 압박) 시작하기
가슴 압박은 CPR에서 가장 중요한 단계입니다. 심장이 멈춘 사람에게 가장 효과적인 응급처치는 강력한 가슴 압박입니다. 이를 통해 혈액이 심장에서 뇌와 다른 장기로 순환하게 됩니다.
- 한 손을 환자 가슴 중앙에 놓고, 그 위에 다른 손을 포갭니다.
- 팔꿈치는 곧게 펴고, 상체의 힘을 이용해 5~6cm 깊이로 강하고 빠르게 압박합니다.
- 1분에 100~120회의 속도로 빠르게 압박해야 하며, 중간에 손을 떼지 않고 계속 압박을 해야 합니다.
- 어깨가 환자의 가슴과 일직선이 되도록 몸을 세우고, 가슴이 완전히 풀린 후에 다시 압박합니다.
압박이 너무 약하면 효과가 없고, 너무 빠르면 혈액이 충분히 순환되지 않으므로 적당한 속도와 깊이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4. 인공호흡 시도하기 (가능할 경우)
인공호흡은 CPR에서 필수적인 부분은 아니지만, 의식이 없는 사람에게 심장과 호흡이 동시에 멈춘 경우에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인공호흡을 통해 환자의 폐에 산소를 공급하고, 이를 통해 뇌 손상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 먼저 환자의 머리를 뒤로 젖히고, 턱을 들어 올려 기도를 확보합니다.
- 코를 막고, 입을 완전히 덮어 환자에게 부드럽게 1초간 숨을 불어넣습니다.
- 환자의 가슴이 올라가는지 확인하면서 두 번째 인공호흡을 시도합니다.
- 30회 가슴 압박 후, 2회 인공호흡을 반복합니다.
인공호흡이 어려운 경우에는 가슴 압박만 계속 진행하는 것이 더 중요하므로, 자신이 없으면 가슴 압박만 지속하는 것이 좋습니다.
5. CPR 반복하기
CPR을 시작하면 중단 없이 지속적으로 진행해야 합니다. 만약 주변에 다른 사람이 있다면 교대로 CPR을 해주세요. 한 사람이 가슴 압박을 하다가 지치면, 10초 이상 중단하지 않도록 교대하면서 계속 압박을 진행해야 합니다. CPR의 목표는 구급대가 도착할 때까지 또는 환자가 반응을 보일 때까지 멈추지 않고 진행하는 것입니다.
만약 **심장자동제세동기(AED)**가 근처에 있다면, 이를 사용하여 정확하게 전기 충격을 가해 심장을 다시 시작시킬 수 있습니다. AED는 자동으로 작동하고 음성 안내가 나오므로, 사용법을 모르는 사람도 쉽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6. CPR을 계속할 때의 중요한 포인트
- CPR을 시행할 때 손을 떼지 않고 압박을 지속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압박을 멈추는 시간은 10초 이내로 최소화해야 합니다.
- 압박의 깊이와 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고, 과도하게 빠르거나 느리게 하지 않도록 합니다.
- 가슴이 완전히 풀린 후에 압박을 계속해야 합니다. 일부러 너무 빠르게 압박을 반복하면 효과가 떨어질 수 있습니다.
- 인공호흡을 할 때는 입을 완전히 덮어야 하고, 너무 강하게 불어넣지 않도록 주의합니다.
7. CPR 종료 후 후속 조치
CPR을 계속한 후, 환자가 의식을 되찾거나 호흡을 하기 시작하면 CPR을 멈춥니다. 하지만 만약 구급대가 도착하기 전에 환자가 반응하지 않거나 호흡을 하지 않으면, 계속해서 CPR을 계속해야 합니다. 심폐소생술은 의식이 돌아오거나 의료진이 도착할 때까지 계속해야 합니다.
8. CPR을 하지 않으면 일어날 수 있는 일
심폐소생술을 하지 않으면, 뇌에 산소 공급이 끊기면서 뇌 손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4~6분 이상 심정지가 지속되면 뇌에 치명적인 손상이 일어나며, 그 후에는 회복이 어려워질 수 있습니다. 또한, 심폐소생술을 통해 혈액 순환을 촉진시키는 것이 심장에 직접적인 도움을 줘서 심장박동을 되살릴 수 있는 기회를 높입니다. CPR은 생사를 가를 수 있는 중요한 응급조치로, 적절히 시행하면 생존 확률을 크게 높일 수 있습니다.
9. CPR을 할 때의 주의사항
- CPR을 하는 동안 너무 힘을 주면 환자의 갈비뼈나 내장에 상처를 입힐 수 있지만, 생명 구출을 위한 조치이기 때문에 너무 부드럽게 하지 말고, 강하고 빠르게 압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감전 사고 후에는 반드시 병원에서 추가적인 치료를 받아야 합니다. CPR을 해도 환자가 완전히 회복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병원에서 추가적인 의료적 치료를 받아야 합니다.
위 내용은 심폐소생술(CPR)을 시행하는 세부 단계와 중요 포인트를 다룬 것입니다. CPR을 정확히 이해하고 실행하는 것이 누군가의 생명을 구할 수 있는 중요한 방법이라는 것을 명심해 주세요.
'우리몸의 건강와 다양한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돌림근띠(회전근개) 재건술 후 관리 (0) | 2025.04.19 |
---|---|
돌림근띠(회전근개) 재건술 및 수술 관리 (0) | 2025.04.19 |
부산 감전 사고, 남 일이 아닙니다(이렇게 대처하고 치료하세요) (0) | 2025.04.19 |
근골격계 신장 기술 설명과 방법 (0) | 2025.04.19 |
척추 운동과 자세 조절에 관해 고유성 감각을 인식하는 운동 (0) | 2025.04.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