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슴문증후군의 신경포착 지점
신경혈관 구조의 압박 또는 신경포착이 생기는 주요 세 부위 가 있다.
1. 목갈비근 사이 삼각지대
앞 · 중간 목갈비근과 첫 번째 갈비뼈 사이를 말한다. 이 근육들이 비대, 단축, 해부학적 변화가 나타나면, 머리와 팔의 움직임과 함께 신경조직의 정상 가동성이 있는 팔신경얼기의 몸쪽 부위를 압박할 수 있다... 목갈비근 사이 삼각의 기능부전으로 인한 증상은 Adson TEST방법으로 발현할 수 있다. Adson TEST 방법은 목갈비근을 신장시켜 신경에 긴장을 주는 것이다. 만약 동맥이 압박되면 맥박이 감소하게 된다. 목갈비근의 촉진을 통해 증상을 발현시킬 수 있다.
2. 갈비 빗장 간격
빗장뼈의 아래와 첫 번째 갈비뼈의 사이를 말한다. 신경혈관 다발의 압박은 빗장뼈와 첫 번째 갈비뼈 사이에서 발생할 수 있다. 특히 무거운 가방을 옮기거나 구부정한 자세와 같은 잘못된 자세로 인해 빗장뼈가 일정 시간 동안 밑으로 내려오게 되어 압박이 발생할 수 있다. 빗장뼈 골절 또는 이 상도 증상을 야기할 수 있다. 첫 번째 갈비뼈의 상승은 첫 번째 갈비뼈의 부분 탈구 또는 위 가슴호흡 (만성 기종 또는 천식) ,갈비 빗장 관절 사이가 좁아짐으로 인해 나타난다. 증상은 빗장뼈의 내림으로 나타나는데 이는 어깨 들임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으며 Military Brace 검사할 때도 내림 된다. 환자가 호흡할 때 이러한 자세에 서 증상이 발현이 된다변 갈비뼈 상승이 증상의 원인이 된다. 빗장뼈와 첫 번째 갈비뼈의 가동성 역시 검사해야 한다.
3. 겨드랑이 사이
앞 세모 가슴근막과 작은가슴근 그리고 부리돌기 사이를 말한다. 신경혈관 구조의 제한된 움직임 이 나 압박은 작은가슴근이 단축되거나 잘못된 자세로 인해 어깨뼈의 앞쪽 돌출 또는 반복된 과사용으로 인해 이 부위에서 발생할 수 있다. 팔을 들고 있는 자세는 팔신경얼기의 아래가지와 혈관을 신장시키는 자세이다. 제한된 신경혈관 가동성과 긴장이 팔신경얼기에 있다면, 환자는 팔을 벌림 시켰을 때 증상의 재발현되는 것을 경험하게 된다. 또한 반복해서 손을 쥐었다 폈다는 것을 반복적으로 하거나 허혈성 통증이 증가한다면(OROS 검사) 혈관 손상이 있는 것이다. 만약 작은가슴근의 단축이 있으면 작은가슴근을 촉진하여 누를 때 신경학적으로 증상이 발현된다.
가슴문증후군의 흔한 구조적 손상과 가능한 손상
팔신경얼기와 혈관의 간헐적인 통증, 마비, 감각 이상, 약화 앞쪽과 안쪽 근육의 단축과 뒤쪽과 가 쪽 근육의 약화와 함께 팔이음뼈에서의 근육 길이-힘 불균형, 상체의 잘못된 자세, 자세 유지근의 부족한 지구력, 위 가슴 호흡과 같은 열은 호흡 양상 빗장뼈와 갈비뼈 앞쪽 부위의 가동성 부족, 팔신경얼기 압박 시 신경 긴장 증상이 있다.
활동 제한과 참여 제한
과도하게 두꺼운 베개 또는 팔의 자세로 인한 수면장애를 보인다. 서류 가방, 여행 가방, 어깨끈 등을 들어 나를 수 없고, 손상 쪽으로 무게 있는 물건을 옮기기 힘들다. 팔을 머리 위로 뻗는 동작을 오래 유지하지 못한다. 컴퓨터나 전화 상담원같이 머리와 손상 쪽 어깨를 사용하여 책상에서 일하는 것이 제한되고, 장시간 운전이 힘들다. 일반적으로 수술적인 방법보다 먼저 실시된다. 환자 관리를 위해 중요한 사항은 가슴 문 주위 조직들에 기동성을 높여줌으로써 기계적 압박을 줄여주는 것이다. 그리고 자세 정렬을 바르게 해주어 압박되지 않도록 방지하고 올바른 자세를 유지하기 위한 지구력을 증가시켜 준다. 특별하게 나타나는 손상에 따라서 적용되는 치료적 중재를 이용하여 프로그램을 만든다. 또한 근막통증후군, 오목위팔관절 질환, 목 질환 또는 먼 쪽 말초신경병증 등 이차적 또는 연관된 불편함은 확인돼야 하고 적절한 중재가 프로그램 안에 포함되어야 한다.
환자 교육
자세를 조절하거나 증상발현을 없애는 자세, 활동성을 늘리고 유연성을 증가시키는 운동과 근력운동 그리고 자세 운동과 같이 집에서 할 수 있는 운동프로그램을 알려준다. 신경과 혈관 구조의 압박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교육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신경조직 가동성
신경 긴장 검사에서 양성반응이 있을 경우, 신경 가동 술을 적용해야 한다.
관절, 근육 그리고 결합조직의 자동성
가동성 손상에 수기 치료 또는 자가 신장을 적용한다. 관절 움직임의 제한은 어깨와 팔, 가슴 빗장 관절 또는 첫 번째 갈비뼈 가로 관절에서 나타날 수 있다. 흔히 근육에 나타나는 빼는 함은 자세와 관련된 손상으로, 목갈비근, 어깨올림근, 작은가슴근, 큰가슴근, 갈비 사이 근 앞쪽, 뒤통수 밑 근육에서 나타난다. 신장은 이러한 근육의 가동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근 수행력
자세 근육 조절과 지구력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을 적용해야 한다. 근 약화가 오지만 제한이 있지 않은 근육은 어깨 모음근과 위쪽 돌림근, 어깨 가쪽돌림 근, 등 평균들이다.
호흡 패턴과 위쪽 갈비뼈의 올림
환자가 폐꼭대기 부위 호흡 패턴을 사용하거나 목갈비근의 긴장이 증가한다면, 가로막을
이용한 복식호흡이나 심부 호흡 패턴을 알려주고 상체의 긴장 완화도 교육한다.
기능적 독립
환자에게 증상에 대한 인지와 관리능력을 교육하여 기능적 독립을 증가시킨다. 환자가 능동적으로 치료적 중재 또는 모든 프로그램을 관리할 수 있게 한다.
결론적으로 올바른 호흡 패턴과 둥근 둘을 펴낼 수 있는 등 근육의 활성화와 목 앞에 있는 전경 근막을 이완하여 속에 있는 신경과 혈관을 해방해 근골격계 적 신경학적으로 증상을 중재해야 할 것이다.
'우리몸의 치료와 균형' 카테고리의 다른 글
통증을 만들어내는 척추 안정성에 대해 알아보자 (0) | 2025.04.03 |
---|---|
손목통증을 유발하는 손목굴증후근의 신경학적 손상과 관리 (0) | 2025.04.02 |
신경 기능 손상을 포함한 근골격 검사와 진단. (0) | 2025.04.01 |
신경가동성 손상의 증상과 관리 상지신경 치료방법 (1) (0) | 2025.04.01 |
신경 손상과 회복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하자 (0) | 2025.03.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