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우리몸의 치료와 균형

신경 기능 손상을 포함한 근골격 검사와 진단.

by powerin0815 2025. 4. 1.


하지 신경 검사와 가동 술

 

 

궁둥신경 검사 SLR TEST (발목 발등굽힘과 함께하는 하지 직 거상 SLR)

 

환자는 바로 눕는다. 다리를 완전히 편 상태에서 들어 올리며 발목을 발등굽힘 시킨다.
다양한 방법을 적용할 수 있는데 발목 발등굽힘, 발목 안쪽 번짐 상태에서 발바닥굽힘, 엉덩관절 모음, 엉덩관절 안쪽돌림, 그리고 수동으로 목 굽힘 등을 같이 한다. 
이 검사방법은 다리를 뻗고 앉거나 (slump sitting position) 옆으로 누워서 시행할 수 있다. 이렇게 다양한 검사 자세는 다리와 목의 서로 다른 타이트함을 제공하거나 뒤 넘 다리 근의 타이트함을 유발한다. 또한 궁둥신경과 허리엉치신경얼기에서 신경 가동성과 제한받는 위치를 알 수 있다. 발목 자세의 변화는 엉덩관절과 무릎관절의 다양함과 같이 나타날 수 있는데 이는 발바닥근막염과 발목굴증후군과 같은 발의 손상을 판단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일단 신경학적으로 조직의 긴장 상태를 유발하는 자세를 찾았을 때, 그 자세를 유지하고 하나의 관절을 조금씩 풀어 준다 예를 들어보면 발목 발등굽힘과 발바닥굽힘 또는 무릎의 굽힘과 폄이다. 발목의 가쪽번짐과 함께 발등굽힘은 정강신경에 더 많은 긴장을 줄 수 있다. 발목의 안쪽 번짐과 함께 발등굽힘은 장딴지신경에 더 많은 긴장을 줄 수 있다. 발목의 안쪽번짐과 함께 발바닥굽힘은 종아리신경에 더 많은 긴장을 줄 수 있다. 하지 직 거상 시 엉덩관절을 모으면 신경에 긴장을 증가시킬 수 있다. 궁둥신경이 궁둥뼈결절 가 쪽이 있기때문에 엉덩관절 안쪽돌림과함께 하지직거상을하면 궁둥신경의 긴장을증가시킬 수 있다.수동목굽힘과함께 하지직거상을하면 척수가 목쪽으로 당겨지게 되어 전반적인 신경을 신장시킬 수 있다. 안쪽과가쪽발바닥신경의 긴장은발가락펌에 의해 증가하고, 발바닥굽힘보다발등굽힘 시 더 크다.

 

 


SlumpTEST


환자는 바르게 앉은 자세를 유지한다. 목,등, 허리를 굽힘하고 목에 압박을 준다. 환자의 조직이 저항하는 정도나 증상이 유발되는 지점까지 발목 발등굽힘 과무릎펌을 시킨다. 그리고척추의 압박을풀고환자 스스로 목의 펌을 했을 때 증상이 사라지는지 확인한다. 무릎 굽힘과 펌 또는 발목 발등굽힘과 발바닥굽힘과 같은 움직임을 통해 긴장 정도를 증가시키고 풀어준다.

 

 


Femoral Nerve: Prone Knee Bend TEST

 

환자는 엎드린 자세를 취한다. 허리를 중립자세로 두고 영덩관절도 0도 자세를 취한다. 무릎관절을 구부리며 증상이 다시 나타나거나 저항이 걸리는 지점까지 진행한다. 허리통증 또는 신경학적 징후들은 상부의 허리신경뿌리와 넙다리신경 긴장의 양성 반응을 고려해야 한다. 허벅지 통증은 넙다리곧은근의 긴장 때문에 나타날 수있다. 척추 웅직임으로 인한 척추관 감소 또는 후관절 통증이 생기는 신경뿌리압박과 같은 혼란을 피하기 위해 척추가 과도하게 펌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무릎의 굽힘과 펌을 적용하고 긴장을 풀어본다.

 

가슴문증후군

 

흔희 흉곽출구증후근이라는 말로 더 유명하다. 가슴문은 팔신경얼기가 지나가는 곳으로써 척추관에서부터 나오는 신경뿌리가 겨드랑이의 아래쪽으로 이어진 곳이다. 가슴문은 안쪽으로는 전 중 후 목갈비근와 첫 번째 갈비뼈에 인접해 있다. 뒤쪽으로는 위등세모근과 어깨뼈가 있고, 앞쪽으로는 빗장뼈 , 부리위팔근, 작은가슴근, 어깨세모가슴근막 그리고 가쪽은 겨드랑이로 구성되어 있다. 팔신경얼기는 앞목갈비근과 중간목갈비근 사이로 들어가 빗장뼈아래 동맥을 따라 지나가며 목갈비근 전부 후방쪽으로 지나간다 그리고 빗장뼈밑정맥은 목갈비근 전부 전방쪽으로 지나간다. 혈관은 팔신경얼기에 합쳐져 빗장뼈 아래 ,첫 번째 갈비뼈 사이,부리위팔근 아래 작은기슴근 뒤쪽 밑으로 같이 진행한다. 혈관과 팔의 신경학적 증상은 신경뿌리 또는 말초신경의 피부분절과 근절과 일치하지 않으므로 치료사는 가슴문증후근을 의심하고 검사 해봐야 한다.

 

진단

 

기슴문증후군(TOS)은 어깨이음뼈에 다양한 임상적 문제를 포함하고 있다. 가슴문증후군의진단은 아직 논쟁이많은데 이유는 임상적으로 복잡하고 통증, 마비, 무감각, 약화, 변색,부종,맥박소실,궤양,괴저,레이노드현상과 같이 팔에 다양한 신경학적 그리고 혈관적 증상이 나타나기 때문이다. 또한 환자는 두통을 호소히는데 자세 긴장, 혈관손상과 관련 있다. 

참가슴문증후군
가장 드물게 나타나는 증후군으로써 환자는 해부학적으로 비정상적인데 예로 목갈비뼈 또는 목뼈 7번가로돌기의 비정상이다. 환자 마비증상이 있고 팔 안쪽에 통증이 있으며 근력 약화를 경험한다고 표현한다.손의 내재근에 근위축이 온다. 근전도검사에서도 양성반응이 나온다. 

신경성 가슴문증후군
참가슴 문증후군과 비슷하다. 하지만 해부학적 비정상은 없고,근위축도 없으며 근전도 검사에서도 나오지 않는다.종종 자세성 문제가 존재한다.

동맥 혈관성증후군
이 증상은 굉장히 드물며 목갈비뼈의 구조적 결함으로 발생하는 문제이다. 팔을 위로 들어올리는 동작 동맥이 압박받게 된다. 팔을 위로 들어 올리는 동작으로 인해 팔이 피로하다면 반드시 일을 하거나 취미 활동을 할 때 지속적인 반복 손상으로 인해 동맥손상위험요소를피해야할것이다.

정맥 혈관성 증후군

빗장밑정맥의 압박은 전형적으로 발생하는 가슴문증후군은 아니다. 정맥 증상은 다른 이유로부터 발생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색전증이 있다. 급성 색전증은(갑자기 아프고 부종이 생기며 팔에 파렇게 변색이 된다.) 종종 의학적으로 다뤄지는데, 치료사는 항상 명확하지 않은 부종을 의심해야 한다. 색전증은 갑자기 팔을 많이사용함으로 발생할 수 있고 부종의 시작이 장기화되어잠행성이 될 수도 있다. 이러한상황이 벌어지면 치료사는 촉진을 해봐야 할 것이다.

 

가슴문증후군 원인

 

잘못된자세. 자세의 변화,특히 머리를 앞으로 내미는 등뼈뒤굽음 증가와 어깨뼈 내멈, 둥근어깨의 증가로 인해 신경혈관이 지나가는 길의 공간이 좁아질 수 있다. 특히 목갈비근과 작은가슴근의 단축은 잠재적으로 신경혈관조직을 압박할 수 있고, 반복적인 외상과 과사용으로 인한 유착으로 신경압박이 발생할 수 있다. 만약 빗장뼈의 각도가 갈비빗장관절 밑으로 쳐지면 어깨가 견인되는 이유가 된다. 또한 빗장뼈와 첫 번째 갈비 뼈가함께 신경과혈관을 압박할수 있다

압박성 신경병증신경 혈관구조의 압박은 팔신경 얼기과 빗장뼈아래 혈관이 지나가는 곳의 크기가좁아져 발생할수 있다. 압박은목갈비근이나 작은가슴근의 비대로 발생할 수 있다. 해부학적 비정상은 목갈비뼈 또는 빗장뼈 골절로 인해 생길 수 있으며, 근막이 짧아져서 생길 수 있다.

 

상처조직 또는 압박에 의한 신경 포착은 팔신경얼기의 가슴문증후군의 다양한 조직들을 지나며 수용가능한 긴장을 통해 신경조직 기능에 영향을 미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