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37

척추 추간판탈출 원인과 관리 (1편) 척추 추간판 손상 관리법 여러 학술은 탈출, 팽창, 돌출 그리고 유출이란 용어로 다르게 정의 되고 있다. 탈출(Herniation)은 정상적 경계를 지나 섬 유대의 모양이 불룩하게 나오는 것을 말한다. 팽창(Protrusion)은 속질핵 내의 물질이 섬 유대의 바깥층에 아직 그대로 있는 경우이다.  돌출(Prolapse)은 척추뼈 관 내로 속질핵 내의 물질이 흘러 들어간 경우이다. 유출(Extrusion)은 MRI 검사에서 척추 추간판 공간 위나 아래로 또는 뒤세로인대의 경계를 지나 속질핵 물질의 이동, 그러나 아직도 척추 추간판 있는 것을 말한다. 완전 분리(Free sequestration)(Free sequestration)는 유출된 속질핵은 척추 사이원반과 분리되고, 돌출된 부분에서 멀어진다. 피.. 2025. 4. 5.
자세 불균형 손상 관리 두 번째 이야기 자세와 기능적 움직임 관계  환자가 올바른 자세를 생각하는 방법을 배우면, 사람들은 잘못된 자세를 유지하거나 반복적으로 수행하는 것이 통증과 기능 이상을 가져오는 것을 알게 되고 이러한 자세를 수정하여 올바른 자세를 생각하는 방법을 알게 된다. 환자에게 잘못된 자세를 하게 한 후 기다리게 한다. 불편함을 느낄 때 그 자세를 지적하고 그것을 수정하는 방법과 불편함이 완화되는 기분을 느끼게 한다. 많은 환자가 스트레스와 통증 사이의 간단한 관련성을 알지 못한다. 따라서 환자의 증상이 시작될 때 그들이 하는 자세에 집중하게 하고 배운 기술로 어떻게 불편함을 조절할 수 있는지 알게 한다. 환자는 자신의 잘못된 자세를 생각하고 ,  자기 팔다리를 위와 아래로 뻗고, 또는 자기 턱을 여닫는 등의 기능 활동을 시도했.. 2025. 4. 5.
자세 손상의 관리는 어떻게 해야 할까? 자세 불균형 손상 관리  잘못된 자세는 척추와 팔다리의 많은 장애와 기능 제한을 초래한다. 자세에 가해지는 스트레스를 간단히 교정하는 것으로 일차적인 증상이 최소화되거나 경감될 수 있다. 관리를 위한 치료 및 중재 계획을 세우기 전에 환자의 과거력, 신체 계통 검사, 특수검사를 포함한 환자의 검사 소견을 평가하고 기록한다. 자세 정렬(앉기와 선 자세), 걷기, 관절 가동 범위, 관절의 가동성과 유연성 근력 및 동작을 반복과 유지하는 근지구력, 인간공학적 평가, 신체역학, 심폐지구력/산소 용량, 호흡 패턴을 평가 검사 기록한다. 처음에는 제한된 근육 또는 결합조직과 척추 분절의 가동성이나 척추 분절의 이상 정렬로 인해 최상의 척추 자세가 방해될 수 있다. 근력과 근 훈련이 함께 짜여 있는 치료 프로그램으로.. 2025. 4. 4.
자세에 따른 불균형과 손상(두번째 편) 척추의 구부정하고 과 이완된 자세  이완되고 늘어난 자세는 긴척주 앞굽음증이라고도 불리운다. 골반 경사는 다양하고 일반적으로는 위부 허리뼈에서 등뼈 굽힘결과로, 등뼈 분절이 뒤로 움직이고, 엉덩관절 굽힘 결과로 골반이 앞으로움직인다. 이 결과로 아래부허리뼈의 앞굽음과등뼈 부위의 뒤굽음이 증가하고 일반적으로 머리는 앞으로 나아간 자세가 만들어진다 중위부 허리뼈의 자세 는 등뼈의 이동의 양에 따라 다르다. 장기간 오래 서 있을 때 일반적으로 사람들은 한쪽 골반 내림과 다리에 중량을 비대칭적으로 만들고 체중이 실리지 않은 쪽의 엉덩관절을 벌림한다. 이것은 이마면에서 대칭적으로 영향을 끼친다. 전체 등뼈와 허리뼈에 걸쳐서 전체적으로 척추뒤굽음이 있을 때 앉으면 구부정한 자세가 발생한다. 위배근(배곧은근과배빗근의.. 2025. 4. 4.
자세에 따른 불균형과 손상(첫번째 편) 자세 불균형과 손상  척수손상으로 인한 활동 제한이나 (기능 제한)을 받는 환지를 관리할 때 올바른 임상 결정을 하기 위해서는 유연성과 힘 그리고 개인적인 통증 경험으로 인한 손상 된 자세의 근본적인 영향에 대해 이해하는 것이 필요하다. 자세 불균형과 손상은 환자 통증의 근본적인 원인이거나 어떤 외상 또는 병리적 사건의 결과일 수 있다. 배가로근, 배 빗근, 척주, 뭇갈래근 근육 활동에 대한 쌍방향성 정보를 수집하고, 배가로근의 활동이 피드 포워드균형에 부딪히는 개념이라는 증거를 제공했으며, 몸통의 동요를 일으키는 배가로근의 수축이 팔의 움직임의 방향과 무관하다는 이전에 발행된 연구 결과에 반하는 정보임을 증명했다 이 정보는 피드 포워드 활동의 운동 조절 방법에 대해서는 지지하고 있으나, 팔의 움직임과 .. 2025. 4. 3.
통증을 만들어내는 척추 안정성에 대해 알아보자 척추 안정성은미처 알지 못하지만 깨지게 되면 몸이 불안하고 통증이 나타나게 된다. 누구나 반드시 갖고 있지만 인식하지 못해야 좋은 균형이고 신체 움직임이다.   안전성이란?  기저면 안에 중력 선이 위치하면 구조는 안정성을 갖는다. 중력 선의 높이를 낮추거나 기저 변의 너비를 넓히면 안정성은 향상된다. 서 있는 자세에서, 신체의 기저면은 좁고 중력 선의 높이는 높기 때문에 비교적 불안정하다. 중력 선이 기저면의 범위를 벗어나면 구조물은 넘어지고 지탱하기 위해서는 어떤 힘이 가해져야 한다. 비수 축성 구조와 수축성 구조 모두 중력과 외부 힘에 대항해 신체를 지지한다. 뼈와 인대는 관절 가동 범위(ROM)의 끝부분에서 수동적인 압박을 제공한다. 근육은 관절 가동 범위 내에 안정성을 제공하여 비수 축성 조직에.. 2025. 4.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