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37

신경손상 상지 통증과 저림의 원인과 분류와 관리 상완 신경 총의 분류와 관리위 팔신경얼기 손상(C5,C6) 가장 흔하게 발생하는 손상은 위신경얼기의 손상 및 압박이다. 압박과 손상은 어깨가 아래쪽으로 처지거나 목이 반대 방향으로 옆 굽힘 될 경우에 발생한다. 어깨의 벌림과 가쪽 돌림의 소실과 팔꿈치 굽힘과 아래팔의 뒤침 약화가 나타나 감각신경과 운동신경의 마비가 될 수 있다.  중간 팔신경얼기 손상(C7)임상에서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아래 팔신경얼기 손상(C8, T1)  임상에서 위팔 신경 손상과 자주 나타나는 손상 중 하나이다. 종종 위쪽 갈비뼈가 압박되거나 팔이 머리 위로 늘려졌을 때 발생한다. Klumpke 마비라 불리기도 한다. 출산 시 태아의 팔이 머리 위로 올라가 신경이 늘어나거나 비틀린 외압이 나타나 손상될 경우에 발생한다. 신경얼기.. 2025. 3. 30.
수술후 통증 관리와 단계별 관리방법. 수술 후 최대 보호 단계 이것은 조직 염증과 통증의 존재에서 수술한 조직의 보호가 가장 우선하는 수술 후 이른 시기이다. 일부 수술 후, 수술한 부위의 고정이 이 시기에 필요하다. 기타 수술들 이후에, 수술 직후 수술한 조직에 아주 낮은 수준의 스트레스를 주는 것이 권장되며, 보호된 범위 또는 허용할 수 있는 그 환자의 인내도 한계 안에서 이른 수동적인 또는 보조된 ROM만 시행한다. 두 상태 모두에서, 근육 위축을 막기 위한 근 고정 운동도 적합할 것이다. 최대의 보호 단계에 대한 시간상의 틀은 수술의 유형과 이환된 조직의 유형에 따라서 며칠 또는 일주일로부터 1개월 또는 6주 정도 이어진다. 1. 자가 관리를 위한 초기 환자의 교육을 해준다안전한 자세 취하기와 팔다리 움직이기 그리고 특정한 보호적 예.. 2025. 3. 30.
말초 신경 통증 및 질환은 어떻게 관리해야할까? 말초 신경질환은 어떻게 관리해야 할까?말초신경 구조:신경 뼈 대계의 말초 구성요소는 알파 운동신경, 감마운동 신경과 축삭돌기, 그리고 뼈대근이며, 감각신경, 결합조직과 관절, 혈관에 분포해 있는 수용기들과 지지율 신경계의 뉴런이다. 결합조직은 각각의 신경속막(endoneurium,) 신 경다발막(perineurium) , 신경바깥막섬유( epineurium)들로 둘러싸여 있다. 축삭 초(axolemma)는 축삭의 표면을 구성하는 막이다. 슈반세포는 축삭 초와 신경속막 사이에 있으며, 신경다발에서 활동전위의 전도를 빠르게 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는 수초로 형성되어 있다. 수포화되어 있지 않은 작은 섬유들은 예외적이다. 말초신경은 하나의 다발로 구성되어 있거나, 몇몇 다발들로 구성될 수 있다.   신경도 가동.. 2025. 3. 30.
수술을 해야한하는 적응증과 수술관리 수술해야만 하는 적응증은 무엇이고 관리는 어떻게 해야 할까?  대부분의 급성, 재발성 또는 만성의 근육 뼈대게 병변은 물리적 요소나 전기치료와 함께 투약, 치료적 운동, 도수치료 그리고 기능 훈련, 안정 시 부목이나 보조장치의 이용을 통한 보호하기 등을 포함하는 보존적인(비수술적인) 방법으로 성공적으로 관리된다. 그렇지만, 보존적인 프로그램이 성공적이지 못했거나, 한두 가지 결손이 정상적으로 기능하는 그 환자의 능력을 심각하게 손상하거나 그 환자 병변의 심한 정도가 비수술적 관리가 더 이상 적합한 선택이 아닐 만큼 심하다면, 수술적 중재가 필요한 선택이 된다. 근골격계 질환에 대한 수술적응증은 안정 시나 동작이 무능력하게 만드는 극심한 통증, 능동적이나 수동적 움직임의 현저한 제한과 통증, 한 관절이나 .. 2025. 3. 29.
만성염증의 원인과 만성 염증 이후에 발생하는 치유의 아급성기와 만성염증관리 만성 염증의 원인은? (Causes of Chronic Inflammation) :  오래 지속되거나 반복되는 통증 및 움직임과 기능 제한은 반복적이고 과도한 스트레스에 대항할 수 없는 조직에 부과된 스트레스의 결과로 발생한다. 과사용 증후군, 누적 외상 문제, 반복적 좌상(overuse, cumulative trauma, repetitive strain). 이 문제들은 갑작스러운 사고의 반복적 특성을 나타낸다. 반복적인 미세 손상이나 반복적인 스트레인 과부하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콜라젠 섬유의 교차연결 분리와 염증으로 구조적인 약정이나 결합조직의 피로 파괴를 초래한다. 미세 외상에 의한 염증반응은 초기에는 대수롭지 않으나 결국에는 통증을 일으키고 기능 장애까지 초래하게 된다. 힘줄에서 반복적인 미세외상.. 2025. 3. 29.
만성기 통증관리 2번째 만성통증 해결하기 만성기 통증관리 두 번째.  환자 교육 (Patient Education) : 제한적인 흉터 조직을 도수 기법으로 치료할 필요가 없다면, 환자는 운동을 통해 치료 계획을 세워야 한다. 환자에게 저항운동 진전-신장 기법을 생체역학적으로 어떻게 적용해야 하는지를 교육하고, 과도한 스트레스의 결정 요소와 징후를 어떻게 자가 감시하는지를 교육한다. 여가 활동, 스포츠 활동 또는 작업 활동 등으로 안전하게 회복시킬 수 있는 지침을 설정한다. 환자의 개선 정도를 재검사와 재평가하여, 개선이 있거나 어떤 문제가 다시 발생하면 운동을 수정한다. 일상 활동, 직업 활동 또는 스포츠 활동들이 환자의 손상에 영향을 주거나 좋은 활동으로 회복을 방해한다면, 이 활동들의 수정을 요구한다.  운동 진전에 대한 고려 사항 (Con.. 2025. 3. 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