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서울 정비사업 시장에 새로운 흐름이 나타나고 있다.
공사비 상승과 함께 각종 규제가 맞물리면서 재건축·재개발 사업이 점점 더 어려워지자, 일부 노후 아파트 단지들이 리모델링을 현실적인 대안으로 선택하고 있다.

실제로 지난 10월 14일, 서울시 건축위원회는 강남구 ‘대치현대아파트’와 강동구 ‘고덕아남아파트’의 리모델링 건축심의를 통과시켰다. 두 단지 모두 수직 증축을 통해 기존보다 70가구 이상 늘어날 예정으로, 단순 구조 보강 수준을 넘어 주거 가치와 공급 확대 측면에서도 의미 있는 변화다.

왜 지금 ‘리모델링’인가?
그동안 리모델링은 수익성이 낮다는 이유로 재개발·재건축에 비해 외면받아왔다.
그러나 최근 들어 상황이 크게 바뀌고 있다.
재건축·재개발 사업은 아래와 같은 이유로 점점 추진이 어려워지고 있다.
- 재건축초과이익환수제 적용
- 기부채납 의무
- 이주비 대출 제한 (최대 6억원)
반면 리모델링은 위 규제를 피할 수 있고, 건물을 철거하지 않아 사업 기간이 짧고, 비용 부담도 상대적으로 적다.
또한, 정부의 정책 변화도 리모델링 확산에 힘을 보태고 있다.
9월 국토교통부가 발표한 ‘9·7 대책’에는 대형 평형 리모델링에 대한 1+1 분양 허용, 인허가 절차 간소화, 주택건설사업자 등록 없이도 시행 가능한 조치들이 포함됐다.
건설사들도 발 빠르게 진입 중
시장 변화에 맞춰 주요 건설사들도 리모델링 사업 확대에 나섰다.
- 삼성물산은 ‘넥스트 리모델링’ 브랜드를 런칭했고,
- 현대건설은 대수선 사업을 본격화했다.
- 포스코이앤씨는 ‘잠실 더샵 루벤’에서 국내 최초 수직 증축 리모델링을 성공적으로 진행했다.
이제 리모델링은 틈새전략이 아닌, 주요 건설사들의 중장기 사업 포트폴리오로 편입되고 있는 추세다.
제도 개선 움직임도 긍정적
국회에서도 리모델링 관련 제도 개선 움직임이 활발하다.
**문진석 의원(더불어민주당)**이 발의한 주택법 개정안에는
- 공사비 검증 도입
- 기존 가구 수 5% 이내의 가구 분할 허용
- 건축위원회 통합심의
- 리모델링 지원센터 설립 확대
- 사업준공 후 조합 해산 규정 신설
등이 포함돼 있다.
**강대식 의원(국민의힘)**도
- 변경 허가 대상 명확화
- 수직 증축형 리모델링 안전성 검토 1회 통합
- 안전진단 30일 내 실시
등을 주요 내용으로 한 개정안을 발의한 상태다.
두 법안 모두 국토교통위원회 법안심사소위에 계류 중이며, 국토위의 검토 보고서에서 긍정적인 평가를 받은 만큼, 국회 통과 가능성도 높다는 전망이 나온다.
재건축이 어려운 구조… 리모델링이 대안 될 수 있다

1990년대 이후 지어진 아파트 단지들은 이미 용적률이 300~400%에 달하는 경우가 많아 재건축을 해도 일반분양분 확보가 거의 불가능하다.
심지어 일부 단지는 재건축 추진 시 용적률이 오히려 줄어드는 상황도 발생하고 있다.
여기에 최근 자재값과 인건비 상승으로 공사비까지 급등하면서,
강남 등 일부 고수익 지역을 제외하면 재건축 사업성 확보가 매우 어려운 상황이다.
'나와 세상을 위한 필요한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 글로벌 경제 리더 1700명 한자리에, 경주서 ‘2025 APEC CEO 서밋’ 열린다 (0) | 2025.10.19 |
|---|---|
| 가을밤 광주 동구, 동화 속으로 빠지다(추억의 동화가 살아난 제22회 충장축제 현장) (0) | 2025.10.19 |
| 보험금, 왜 제때 안 주는 걸까?…상반기 1조 가까이 늦어진 지급 (내 보험 지급률 확인하기) (0) | 2025.10.19 |
| [단독] “실버바 품귀 현상 시작됐다!” 국제 은값 사상 최고치 경신에 국내 투자자 비상 (0) | 2025.10.18 |
| SUV 역사에 이런 차 없었다… ‘디펜더 옥타’가 보여준 클래스 (0) | 2025.10.18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