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우리몸의 치료와 균형

목 뼈 원반 병변 관리 중재와 수술과 수술 후 관리

by powerin0815 2025. 4. 10.

목 뼈 원반 병변 관리 중재와 수술과 수술 후 관리

 

목뼈의 원반 병변은 허리뼈에서 더욱 덜 흔하다. 종종 원반 유출은 척수 압박과 척주관의 잠재적 절충 때문에 수술이 적응증이다. 환지는 원반 병리의 진단 없이 머리 내밂 자세와 말초신경장애를 가진다. 증상은 아래 목뼈와 위쪽 등뼈의 굽힘이 증가하고 이들 범위의 (축성 파마 또는 목뼈 당김) 신전운동의 활동 감소와 자세에서 증가한다.

 

목뼈 원반 병변의 급성 단계

 

수동적 축성 폄 

 

환자 자세와 절차 : 머리 또는 목 아래에 베개 없이 환자는 바로누운자세에서 시작한다. 천천히 환자의 머리를 끄덕이고 치료 테이블에 대하여 편평하게 목을 놓는다. 목이 한쪽으로 치우침 되거나 돌림 된다면 중심선에서 뒤쪽으로 머리와 목을 움직여야 한다. 완만한 점진적 자세를 요구하며, 달성하기 위해 10분에서 20분 유지한다. 

진전


목뼈의 젖힘에서 뒀다 김으로 진행하고 돌림을 진행한다. 조심히 다루고, 조심스럽게 징후와 증상을 관찰한다. 증상이 팔 쪽으로 말 추상화한다면 진행을 멈춘다.

환자교육 
앉은자세에서 수동적으로 머리와 목을 움직이는 방법을 환자에게 가르친다. 환자는 움직임을 직접적으로 서서히 턱을 내민다(턱관절의 관절 압박을 야기하므로 너무 강하게 밀지 않도록 주의한다). 이 기술은 진폭을 향상됨을 보이고 아래 목뼈의 신경주를 압박을 줄이므로 신경뿌리 병증의 증상을 감소시키고 가동성을 향상하는 데 도움이 된다. 

견인 (Traction) 
목뼈 견인은 환자의 증상을 완화할 수 있다. 허리뼈 견인에서 기술했듯이, 급성 단계 동안 견인이 지속 시간에서 간헐적 견인을 15분 이상 하지 않고 10분 이상 지속적 견인을 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 견인의 양은 척추 분리를 야기하는 강도이다.

자세 교정을 위한 근 운동감각 훈련 
머리 위치를 유지하기 위한 안전한 역학을 환자에게 교육한다. 급성기 동안 환자는 목뼈를 고정하기 위해 목뼈 보호대 착용이 필요하다. 자세를 유지하기 위해, 보호대를 잘 맞추고, 증상을 중심화하는 자세를 환자에게 인식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증상 안정화에 따른 진전 

잘못된 목뼈, 등뼈와 어깨뼈 자세가 나타난다. 안전한 척추 기전과 함께 기능 활동과 자세성 스트레스를 감소하기 위한 환경적 적응, 어깨뼈와 어깨 근육에 비중을 두는 자세 조절에서 안 
정화 운동, 자세성 인지를 위한 근 운동 감각 훈련을 강조한다.

 

 

척추사이원반 수술과 수술 후 관리

 

수술 적응증  

 

신경뿌리 자극으로 인한 팔다리에 신경병증이 환자가 물리치료 약물치료 그리고 스테로이드 치료와 같은 보존 치료로 효과를 볼 수 없을 때 수술이 적응증이다.

 

양상에 따른 수술 종류

 

척추에 시행되는 가장 일반적인 2가지 방법은 고리판절 제술(척추후궁절제술) 과 1개 이상의 척추뼈 융합술이 있다.


고리판절제술은 척추 고리 판을 제거하는 수술이다. 부분 또는 반고 시판절제술은 고리 판만을 절제하는 것이고, 완전 고리 판 절제술은 고리 판, 가시돌기, 그리고 고리 판에 붙어 있는 황색인대 전제를 절제하는 수술이다. 완전 구리판 절제술의 단점은 수술한 분절의 해부학적 불안정성이다. 적은 양의 가 쪽 척추사이원반 돌출이 있는 환자에게 융합술보다는 구리판 절제술이 적용된다. 구리판 절제술의 장점은 수술 분절의 가동성을 유지한다는 것이다. 

융합술은 분절의 불안정과 복합된 축성 통증, 심한 관절 퇴행성 변화, 조절되지 않는 말초성 통증이 있는 환자에게 적용된다. 분절 움직임이 제거되거나 감소하는 척추융합술 장점은 퇴행이 일어난 원반 부분에 역학적 스트레스를 감소시키고, 손상된 원반에서 추가적인 탈출의 가능성이 감소한다는 것이다. 이 그러나, 척추융합술로 인한 영향은 퇴행성변화를 촉진하고, 주변 척추분절에 과가 동성을 유도하고, 전반적인 척추 역학의 변화를 초래한다.

 

수술 후 관리 방법

 

 

수술 후 관리 방법에는 최대 보호 단계와 중등도, 최소 보호 단계가 있다. 

최대 보호 단계에서는 환자 교육을 실시한다. 수술 의사의 기대, 수술 절차, 그리고 재활 과정 등에 대해 환자에게 교육한다. 또한 수술 의사에 의해 수술 후 제한해야 할 사항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수술 후 3개월까지 5kg 이상 들지 말아야 한다. 능동운동에 대한 제한은 수술의 사의 견해와 수술 절차에 따라 다를 수 있다. 상처 관리와 통증 조절도 필요하다. 환자에게 발적, 부종, 상처의 불유합 등과 같은 증상이 나타나는지 관찰하도록 설명한다. 침상 활동 학습을 시켜준다. 환자는 정상적인 움직임을 방해하는 보조기를 착용했을 때는 침상 활동에 대해 다시 학습해야 한다. 보조기를 적용하여 상처치유를 촉진하기 위해 수술을 받은 환자들은 일반적으로 필라델피아 컬러 보조기를 착용하고 나서 부드러운 컬러 보조기 또는 다른 보조기를 각각 2~3개월까지 착용해야 한다. 환자들은 샤워할 때 보조기를 제거하고 나서 바로 가벼운 드레싱 후 착용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매우 중요한 운동이 있다. 걷는 것을 독려하고, 바로 누운 자세에서 안정해질 수 있도록 가벼운 운동을 하도록 해야 한다. 발뒤꿈치 흙바닥에 대고 미끄러지듯이 능동 보조 또는 능동 관절 가동 범위 운동을 하고, 넙다리네갈래근의 등척성 운동 넙다리네갈래근 운동 그리고 발목 펌프질 운동 등 몸통 안정화 운동을 아주 약한 강도로 실시하여 내압 조절을 용이하게 준비해 놓도록 한다. 구리판 절제술을 받은 환자들은 뼈로 이루어진 신경 활이 약해져 있기 때문에 파마 운동을 삼가야 한다. 

중등도 보호 단계와 최소 보호 단계에서는 흉터 조직 가동 운동을 실시 하게 되는데 절개된 부위가 치유된 후 수술 부위에 통증과 결합조직의 가동성을 향상하기 위해 흉터 조직 기동 운동을 실시해야 한다. 제한된 조직의 점진적 신장 운동과 관절 가동 술과 도수교정을 실시 하고 수술 주변 분절에 가벼운 관절 가동 술은 관절 기동 범위 증가와 통증 조절을 위해 이용된다. 점진적인 노출을 해 견딜 수 있는 범위에서 초기에는 분절 안정화 운동에서 시작하여 전신 안정화 운동으로 진행한다. 환자의 목적에 따라 활동 제한과 손상에 초점을 맞추어 직접적으로 적용한다. 환자가 견딜 수 있는 범위에서 단일 변에서 복잡한 면으로 운동을 진행한다. 마지막으로 보행훈련을 하게 된다. 

금기 증은 융합술을 한 분절은 절대로 도수교정 치료를 하면 안 되며 팔굽혀펴기와 같은 신전 운동은 소리판 절제술 받은 사람에게 적용하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