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깨 통증 증후군의 원인과 비수술적 치료와 관리
어깨 통증 증후군은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하며, 그중 가장 흔한 형태는 회전근개(돌림근띠)와 어깨봉우리 밑 윤활주머니가 위팔뼈와의 공간에서 충돌하거나 압박받는 데서 비롯되는 충돌 증후군이다. 이 질환은 어깨 관절에서 통증을 유발하는 가장 일반적인 원인 중 하나로, 일상생활뿐만 아니라 스포츠 활동에서도 큰 제약을 줄 수 있다.
충돌 증후군의 정의와 기전
충돌 증후군은 위팔뼈 위 공간의 연부조직, 즉 회전근개와 어깨봉우리밑 윤활주머니(subacromial bursa)가 반복적인 기계적 압박이나 마찰을 받으며 염증, 통증, 기능 저하를 유발하는 상태를 말한다. 이 부위의 공간이 해부학적으로 좁거나, 특정한 동작을 반복할 때 발생하는 역학적 스트레스로 인해 조직이 손상되기 쉽다.
회전근개는 네 개의 근육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어깨 관절의 안정성과 움직임을 담당한다. 위팔뼈가 들릴 때 이 구조물들이 어깨봉우리의 하연과 반복적으로 마찰되면 염증이 발생하고, 그로 인해 통증과 운동 제한이 동반된다.
충돌 증후군의 증상과 진단
충돌 증후군은 주로 팔을 머리 위로 올릴 때 통증이 발생하며, 특히 60도에서 120도 사이의 특정 각도에서 통증이 두드러지는 ‘통증 호(arc)’ 현상이 나타난다. 또한, 야간 통증, 어깨 움직임 시 삐걱거림 또는 찌릿한 느낌, 근력 저하 등의 증상도 동반될 수 있다.
진단을 위해서는 이학적 검사(Neer test, Hawkins-Kennedy test 등)가 우선적으로 활용되며, 초음파나 MRI와 같은 영상 검사로 회전근개 파열 여부, 윤활주머니염, 힘줄염 등을 보다 정밀하게 확인할 수 있다.
충돌 증후군은 크게 내재적(intrinsic) 원인과 외재적(extrinsic) 원인으로 나뉜다.
내재적 원인에는 힘줄 자체의 퇴행성 변화, 혈류 부족, 콜라겐 배열 이상, 과사용으로 인한 미세 손상 등이 있다. 이러한 손상은 주로 40세 이상 중장년층에서 나타나며, 회전근개 안쪽의 관절면이 점진적으로 찢어지는 양상을 보인다.
외재적 원인은 어깨의 구조적 문제나 운동 패턴의 이상으로 인해 발생한다. 어깨봉우리의 모양이 평평형보다는 곡선형 또는 갈고리형일수록 회전근개와 충돌할 가능성이 높다. 특히 어깨뼈의 전방 경사, 흉곽의 유연성 부족, 근육의 비대칭적인 사용 등도 외재적 충돌을 유발할 수 있다.
외재적 충돌은 다시 일차성, 이차성, 내부성 충돌로 세분된다.
일차성 충돌은 구조적인 원인, 예를 들어 어깨봉우리 아래 공간이 선천적으로 좁거나, 관절의 퇴행성 변화로 인해 공간이 줄어들어 발생한다.
이차성 충돌은 어깨 관절의 불안정성이나 근력 불균형, 잘못된 운동 패턴 등 기능적인 문제로 인해 발생한다.
내부성 충돌은 주로 운동선수들에게서 관찰되며, 팔을 외회전하고 신전할 때 위팔뼈 머리가 뒤쪽으로 이동하면서 회전근개의 뒤쪽 부분이 관절순과 충돌하는 양상이다.
근육과 힘줄 손상
충돌 증후군을 유발하거나 동반하는 다양한 근육 및 힘줄의 손상이 존재한다.
가시위근 힘줄염은 가장 흔한 형태로, 머리 위로 팔을 들어올릴 때 통증이 나타나며, 특히 근육과 힘줄의 연결 부위에서 병변이 발생한다.
가시아래근 힘줄염은 팔을 바깥쪽으로 돌리거나 옆으로 벌리는 동작에서 통증을 유발하며, 던지기 동작을 자주 하는 운동선수에서 흔하게 발생한다.
위팔두갈래근 힘줄염은 위팔두갈래근의 긴갈래 힘줄에 염증이 생기며, 어깨 앞쪽 깊은 부위에 통증을 유발한다. Speed 검사나 Yergason 검사에서 양성 반응이 나타날 수 있다.
윤활주머니염은 충돌 증후군과 유사한 통증을 유발하며, 급성일 경우 가시위근 힘줄염과 구분이 어렵다.
불안정성과 충돌의 관계
어깨의 안정성은 정적 안정성(인대, 관절낭 등)과 동적 안정성(회전근개, 어깨 주변 근육)으로 나뉜다. 이 구조들이 제 기능을 하지 못할 경우 어깨의 위치가 틀어지고 충돌이 더 쉽게 발생한다.
다방향 불안정성은 관절의 모든 방향에서 비정상적으로 큰 움직임이 발생하는 것으로, 선천적인 관절의 유연성 증가로 인해 흔히 나타난다. 지속적인 스트레칭이나 과도한 활동으로 인해 관절낭이 늘어나면서 안정성을 잃게 되고, 피로한 회전근개는 위팔뼈를 제 위치에 고정시키지 못해 충돌을 유발하게 된다.
단일방향 불안정성은 전방, 후방, 하방 중 한 방향으로만 불안정한 상태로, 외상이나 퇴행성 변화에 의해 회전근개와 관절순이 동시에 손상될 수 있다.
비수술적 치료 및 관리
충돌 증후군의 대부분은 수술 없이도 효과적인 관리와 치료가 가능하다. 주요 비수술적 치료 방법은 다음과 같다.
약물 치료
소염진통제(NSAIDs)는 염증과 통증을 완화하며 초기 통증 조절에 유용하다.
경우에 따라 국소 스테로이드 주사를 윤활주머니나 힘줄 주변에 주입하기도 한다.
물리치료 및 재활운동
초기에는 통증을 줄이기 위한 냉찜질, 초음파, 전기자극 등의 물리치료가 시행된다.
이후 어깨 안정성을 높이기 위한 근력 강화 운동(특히 회전근개 및 견갑골 안정화 근육)과 스트레칭을 병행한다.
자세 교정 및 어깨 사용 습관의 개선도 매우 중요하다.
기능적 운동 재교육
어깨의 올바른 움직임을 회복하기 위해 기능적 움직임 패턴을 반복적으로 훈련한다.
특히 스포츠 선수의 경우 던지기 자세, 스윙 동작 등을 영상 분석을 통해 교정하기도 한다.
테이핑 및 보조기 착용
어깨의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 키네시올로지 테이핑 또는 어깨 보조기를 사용하여 일상 중 불필요한 움직임을 제한한다.
생활 습관 조절
통증을 유발하는 반복적인 머리 위 동작이나 무거운 물건 들기를 피해야 한다.
수면 자세 역시 중요하며, 통증이 심한 쪽을 아래로 눕는 자세는 피하는 것이 좋다.
결론
어깨 충돌 증후군은 어깨 통증의 주요 원인이며, 그 원인은 다양하고 복합적이다. 이를 비수술적으로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는 정확한 진단을 바탕으로 한 맞춤형 치료가 중요하다. 물리치료, 운동 재활, 약물 치료 등 다양한 접근을 병행하면 많은 환자들이 수술 없이도 증상을 개선할 수 있다.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통증이 발생한 초기 단계에서 이를 인식하고, 어깨의 사용 습관을 교정하며, 전문가의 도움을 통해 적절한 재활 프로그램을 수행하는 것이다.
'우리몸의 건강와 다양한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염색체 검사, 쉽고 어렵지 않게 설명해드립니다. (0) | 2025.04.24 |
---|---|
작지만 강한 존재, Y염색체가 질병의 열쇠가 된다면? (0) | 2025.04.24 |
건강기능식품과는 다른 ‘진짜 멜라토닌 약’ 정보 총정리 (0) | 2025.04.23 |
멜라토닌, 병원에서 처방받으려면? (0) | 2025.04.23 |
멜라토닌, 아무때나 먹으면 안 되는 이유 3가지 (0) | 2025.04.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