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나와 세상을 위한 필요한 정보

“미 해군참모총장 ‘한국 핵잠, 중국 견제에 활용될 것’… 대놓고 드러난 미국의 진짜 의도”

by powerin0815 2025. 11. 17.
반응형

 

 

 

 

 

“미 해군참모총장 ‘한국 핵잠, 중국 견제에 활용될 것’… 대놓고 드러난 미국의 진짜 의도”

한국의 핵추진 잠수함 도입을 둘러싸고 미국의 속내가 드러났습니다. 미국 해군의 최고 지휘관인 대릴 커들 참모총장이 직접 ‘중국 견제용’이라는 점을 시사하며 사실상 한국 핵잠수함의 전략적 목적을 공개한 셈입니다. 향후 핵잠 건조 과정에서 미국의 요구가 더욱 강화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옵니다.


핵심: “한국 핵잠수함, 중국 억제에 자연스럽게 쓰일 것”

 

 

커들 총장은 지난 14일 서울에서 진행된 기자회견에서 한국이 도입하려는 핵추진 잠수함의 역할에 대해 분명하게 말했습니다.

  • “핵잠을 중국 억제에 활용하는 것은 자연스러운 예측”
  • “한국도 중국에 대한 우려를 공유한다”
  • “전략적 계산에 포함돼야 할 요소”

이 발언은 미국이 한국의 핵잠 도입을 승인한 이유 뒤에 *‘대중 견제 전략에 한국을 끌어들여 역할을 확대시키려는 의도’*가 있었음을 드러낸 발언으로 해석됩니다.

특히 커들 총장은 **‘미국은 동맹과 함께 중국이라는 경쟁적 위협에 대응하기를 기대한다’**고 언급하며 한국의 전략적 역할 확대를 사실상 요구했습니다.


핵잠수함 도입은 “특급 전략 자산”… 그러나 도전 과제도

커들 총장은 핵잠수함의 전략적 가치를 강조했습니다.

  • 장기간 은밀한 수중 작전
  • 지역 해군이 아닌 글로벌 해군으로의 발전 가능성
  • “큰 힘에는 큰 책임이 따른다”는 스파이더맨 명언까지 인용

이 말은 한국이 핵잠을 운용하면 기존과는 다른 차원의 책임·역할을 요구받게 될 것임을 시사합니다.
특히 미국이 앞으로도 한국이 핵잠을 ‘어디에서, 어떤 목적으로 운용하는지’를 주의 깊게 지켜볼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도 나옵니다.


“운용은 한국 주권”… 하지만 미국의 시선은 계속된다

 

커들 총장은 표면적으로는 이렇게 말했습니다.

  • “한국의 주권 자산이므로 미국이 관여하거나 제한할 사안은 아니다.”
  • “한국 주변 해역에서 함께 작전하는 것도 가능하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이 발언이 ‘표면적인 존중’일 뿐, 실제로는 미국이 한국 핵잠의 전략적 활용 방향에 관심과 기대를 갖고 있음을 감추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고 지적합니다.

한국 핵잠을 미국 필라델피아 조선소에서 건조하는 방안은 아직 결정되지 않은 사안이며, 향후 협의 과정에서도 ‘대중 견제 역할’이 변수로 떠오를 가능성이 큽니다.


전문가 분석: “미국의 승인 자체가 메시지였다”

 

유지훈 한국국방연구원 연구위원은 이렇게 평가했습니다.

  • “미국이 한국의 핵잠 도입을 승인한 이유는 중국 견제 전략에서 한국이 더 큰 역할을 해주기를 바랐기 때문.”

즉, 미국이 단순히 한국 해군의 전력 강화를 위한 지원을 제공한 것이 아니라
중국을 압박하는 인도·태평양 전략의 일부로 한국을 포지셔닝하려는 의도가 작동했다는 의미입니다.


커들 총장의 ‘현장 방문’… 조선업계와의 군사 협력 강조

커들 총장은 군사적 메시지를 던지는 데서 끝나지 않았습니다.
방한 중 HD현대중공업과 한화오션 등 국내 조선 기업을 직접 방문하며 양국의 조선·방산 협력을 강조했습니다.

  • 울산에서 이지스 구축함 ‘다산정약용함’을 시찰하며 “뷰티풀” 외침
  • 방명록에는 “한·미 해군 파트너십은 그 어느 때보다 굳건하다”
  • 한화오션 방문에서는 미 해군 보급함 MRO 작업을 둘러보고 협력 중요성 재차 강조

이는 한국 조선업의 기술력에 대한 신뢰와 함께, 미 해군의 아시아 전략에서 한국이 더 큰 축이 될 것이라는 방향성을 보여주는 행보로 평가됩니다.


정리: “한국 핵잠, 단순 전력 강화가 아니다… 미국 전략의 일부가 되고 있다”

이번 커들 총장의 발언은 명확한 메시지를 담고 있습니다.

  • 한국 핵잠 = 중국 견제를 위한 동맹 자산
  • 미국은 한국이 더 적극적으로 전략 역할을 맡아주길 기대
  • 향후 핵잠 협력 과정에서도 미국의 요구가 나타날 전망

한국의 핵잠수함 도입은 단순한 군사 전력 증강을 넘어,
인도·태평양 전략의 중심국가로서 한국의 역할 변화를 의미하는 중대한 전환점이 되고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