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웅제약, 세계 최초 ‘반려견 당뇨병 치료제’ 엔블로펫 허가 신청


사람에서 동물로 확장된 SGLT-2 억제제…반려동물 당뇨 치료의 새 장 열다
대웅제약이 반려견용 당뇨병 치료제 **‘엔블로펫(inabogliflozin)’**에 대한 품목 허가를 농림축산검역본부에 신청했다고 30일 밝혔다.
이번 신약은 사람을 대상으로 한 당뇨병 치료제 ‘엔블로정’을 기반으로 개발된 세계 최초의 반려견용 SGLT-2 억제제다.
사람용 당뇨 치료제에서 반려견용 신약으로 진화
‘엔블로펫’은 대웅제약이 자체 개발한 인체용 SGLT-2 억제제 **‘엔블로정’**의 성분을 바탕으로, 반려동물의 체중과 대사 특성에 맞게 용량과 제형을 조정해 개발됐다.
동물 임상을 통해 효능과 안전성을 모두 입증했으며, 2022년 임상 2상을 거쳐 2023년에는 임상 3상에 돌입했다.
올해 임상을 성공적으로 마치고 논문을 발표하면서 과학적 근거와 안전성, 유효성을 공식적으로 확보했다.
임상 결과, 혈당 개선 효과 뚜렷


임상 3상 결과에 따르면, 엔블로펫을 투여한 반려견 중 **약 73.3%**가 혈당 조절 지표인 프럭토사민 수치가 뚜렷하게 감소했다.
또한 60%의 반려견에서 당화혈색소(HbA1c) 수치가 개선되는 효과가 확인됐다.
특히 대부분의 반려견에서 인슐린 사용량이 안정화되거나 감소하는 경향을 보여, 인슐린 의존도를 낮추면서도 안정적인 혈당 관리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인슐린 치료의 한계를 보완한 ‘병용 치료제’
반려견의 당뇨병은 사람의 제1형 당뇨병과 유사해, 일반적으로 인슐린 주사가 필수적이다.
하지만 인슐린 투여량이 부족하면 케톤산증이 발생하고, 과도하면 저혈당 쇼크로 이어질 수 있어 치료 과정에서 안정성 확보가 매우 중요하다.
엔블로펫은 인슐린과 달리 당을 소변으로 배출해 혈당을 낮추는 방식으로 작용한다.
이를 통해 인슐린 의존도를 줄이고, 저혈당 위험을 낮추며, 장기적으로 질환 악화 속도를 늦출 수 있는 병용 치료제로 평가받고 있다.
반려동물 시장, 1조 4000억 원 규모로 성장 전망
전문가들은 글로벌 동물용 당뇨병 치료제 시장이
2023년 약 5억4700만 달러(약 7374억 원) 규모에서
2033년에는 11억 달러(약 1조4850억 원) 수준으로 성장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대웅제약은 이번 엔블로펫 개발을 계기로 본격적인 동물용 신약 사업 진출을 선언했다.
향후 반려동물의 만성질환, 노령질환 등을 중심으로 다양한 치료제 개발을 이어갈 계획이다.
“반려견 당뇨병 치료의 새로운 대안”
대웅제약 박성수 대표는 “그동안 반려견 당뇨 치료는 인슐린 단독 투여 외에 뚜렷한 대안이 없었다”며
“엔블로펫이 병용 처방이라는 새로운 치료 패러다임을 제시했다”고 강조했다.
이어 “SGLT-2 억제제 기전을 바탕으로 다양한 반려동물 적응증을 확대해 나가겠다”고 덧붙였다.
전문가 코멘트 — “사람과 동물의 경계를 허무는 신약 트렌드”
최근 제약업계에서는 사람용 의약품의 기술을 반려동물용으로 전환하는 **‘반려동물 전용 신약 트렌드’**가 주목받고 있다.
이정섭 서울대 수의학과 교수는 “엔블로펫 같은 혁신적 신약은 반려동물의 삶의 질을 높이는 동시에, 반려인에게는 치료 부담을 줄여주는 중요한 진전”이라고 평가했다.
엔블로펫의 상용화가 승인될 경우, 이는 세계 최초의 반려견용 SGLT-2 억제제로 기록될 전망이다.
대웅제약의 도전이 사람과 반려동물이 함께 건강한 삶을 누리는 새로운 의료 패러다임으로 이어질지 주목된다.
'나와 세상을 위한 필요한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 테슬라, 사이버트럭 결함 또 리콜…출시 2년도 안 돼 10번째 (0) | 2025.10.31 |
|---|---|
| “금은 절대 안 떨어진다 생각했는데…” 개그우먼 신기루, 금값 폭락에 ‘멘붕’ (1) | 2025.10.30 |
| 배우 이정섭, “죽거나 출가하려 했다”…가슴 아픈 고백과 위암 투병 근황 공개 (0) | 2025.10.30 |
| “유독가스 마시고 응급실行… 백지연이 털어놓은 충격적인 하루” (0) | 2025.10.28 |
| “테슬라 충전 중 폭발… 비공식 어댑터가 만든 아찔한 사고” (0) | 2025.10.23 |
